거누의 개발노트
🎯 「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이용 기준 및 안전성 확보 등에 관한 고시」의 서비스 운영 분야 안전성 검토 항목 본문
🎯 「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이용 기준 및 안전성 확보 등에 관한 고시」의 서비스 운영 분야 안전성 검토 항목
Gogozzi 2025. 4. 1. 08:54✨ 1. 서론
공공기관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때는 보안성, 안정성, 법적 요구사항 준수가 필수적입니다.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는 **「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이용 기준 및 안전성 확보 등에 관한 고시」**를 제정하여, 공공기관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고 운영할 때 준수해야 할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습니다.
본 답안에서는 해당 고시에서 제시하는 '서비스 운영' 분야의 안전성 검토 항목을 상세히 분석하고, 실무 적용 방안을 정리하겠습니다.
🔍 2. 본론
🛠️ 2.1 공공 클라우드 이용을 위한 주요 안전성 검토 기준
공공기관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해 고시에서 명시한 주요 검토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.
🔹 2.2 서비스 운영 분야 안전성 검토 항목
1️⃣ 서비스 가용성 확보
✅ 클라우드 서비스의 **가용성(Availability)**을 보장하기 위한 설계 및 운영 여부
✅ 장애 발생 시 자동 복구(Auto Recovery) 및 이중화(Failover) 여부
✅ 서비스 장애 시 RTO(목표 복구 시간), RPO(목표 복구 시점) 충족 여부
2️⃣ 성능 및 확장성(Scalability) 관리
✅ 서비스 증가 시 유연한 확장(Elastic Scaling) 가능 여부
✅ 트래픽 증가 대응을 위한 로드 밸런싱(Load Balancing) 적용 여부
✅ 성능 최적화를 위한 자동 확장(Auto Scaling) 설정 여부
3️⃣ 서비스 모니터링 및 운영 관리
✅ 클라우드 서비스의 상태 모니터링(Log & Metric 수집) 지원 여부
✅ 장애 탐지 및 조기 경보(알림) 기능 제공 여부
✅ 장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SLA(Service Level Agreement) 준수 여부
4️⃣ 데이터 백업 및 복구(Backup & Recovery) 관리
✅ 정기적인 데이터 백업 및 복구 절차 수립 여부
✅ 장애 또는 재해 발생 시 데이터 복구 프로세스 검토
✅ 공공기관에서 요구하는 재해 복구 계획(Disaster Recovery, DR) 수립 여부
5️⃣ 서비스 종료 및 이전 계획
✅ 클라우드 서비스 계약 종료 시 데이터 이전(Migration) 절차 마련
✅ 타 클라우드 서비스로 이전할 수 있는 포터블리티(Portability) 보장 여부
✅ 데이터 소유권 및 삭제 절차 검토(완전 삭제 여부 포함)
6️⃣ 보안 및 접근 통제(Security & Access Control)
✅ 서비스 운영 시 관리자 및 사용자 접근 제어 정책 적용
✅ 권한 관리 및 감사 로그(Audit Log) 저장 여부
✅ 클라우드 보안 인증(CSAP) 준수 여부
7️⃣ 법적·규제 준수(Compliance) 사항 확인
✅ 공공기관이 요구하는 법적 준수 사항(개인정보 보호법, 정보보호 관리체계(ISMS-P) 등) 충족 여부
✅ 데이터 주권(Data Sovereignty) 및 국내 데이터센터 이용 여부
🔥 2.3 실무 적용 방안
✅ ① 공공기관별 클라우드 보안 수준 평가
- 공공기관별 IT 자산 및 보안 요구사항을 고려한 클라우드 보안성 평가 수행
- 클라우드 사업자가 CSAP(Cloud Security Assurance Program) 인증을 받았는지 검토
✅ ② 서비스 가용성 및 성능 관리 최적화
- SLA 기반의 가용성 99.9% 이상 보장 여부 확인
- Auto Scaling 및 부하 분산(Load Balancing) 적용 여부 검토
✅ ③ 데이터 보호 및 백업 체계 수립
- 데이터 유실 방지를 위해 주기적인 백업 및 복구 테스트 진행
- 서비스 장애 시 신속한 복구를 위한 DR(재해 복구) 프로세스 운영
✅ ④ 보안 및 규제 준수 강화
- 공공기관의 보안 규정 준수(개인정보 보호, 클라우드 보안 인증 등)
- 클라우드 사업자의 보안성 평가 및 침해 대응 시스템 구축 여부 검토
✅ ⑤ 서비스 종료 및 이전 절차 마련
- 클라우드 계약 종료 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(Migration) 전략 수립
- 벤더 종속성(Lock-in) 최소화를 위한 멀티 클라우드 및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고려
🎯 3. 결론
**「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이용 기준 및 안전성 확보 등에 관한 고시」**는 공공기관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도록 서비스 가용성, 데이터 보호, 보안성, 규제 준수 등 다양한 검토 항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.
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로서, 공공기관 클라우드 도입 시 반드시 검토해야 할 운영 안전성 항목을 이해하고, 실무 적용을 위한 최적의 클라우드 아키텍처 및 보안 전략을 제안할 수 있어야 합니다.
👉 핵심 정리:
- 서비스 운영 안전성 검토 항목: 가용성, 성능 최적화, 모니터링, 데이터 백업, 서비스 종료 계획 등
- 실무 적용 방안: 공공기관 보안성 평가 수행, 데이터 보호 강화, 클라우드 운영 최적화
- 규제 준수: 개인정보 보호, 보안 인증(CSAP), SLA 보장 여부 검토
'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🎯 전자정부 정보시스템 성과 측정지표 (0) | 2025.04.01 |
---|---|
🎯 애자일(Agile) 소프트웨어 개발의 장점 및 단점 (0) | 2025.04.01 |
🎯 플랫폼 엔지니어링(Platform Engineering) (0) | 2025.03.31 |
🎯 신경망 처리장치(NPU: Neural Processing Unit) (1) | 2025.03.31 |
🎯 SBOM(Software Bill of Materials) (0) | 2025.03.27 |